본문 바로가기

트렌드 한눈에 보기

(209)
BOA Dial의 종류, 원리 그리고 특허 - 종류편 등산화 부류를 보면 신발끈 직접 묶지 않고 다이얼을 돌려서 조일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것들이 눈에 띈다. "음 편리하겠군" 싶으면서도 가격이 나가는 종류인지라, 보통은 직접 구매하지는 않았다. 어느 순간부턴가, 해당 제품들에 "BOA"라는 프린팅이 보였다. 그냥 대명사인가 싶었는데, 알고보니 특허를 주고 장착한 제품이었다. 해당 기능에 대해 공부해야 할 일이 생겨서 야금야금 정리해보았다. BOA Dial에는 다섯가지 종류가 있다. H(High-power) / M (Multi-functional) / L (Lightweight) / L-multidirectial / S (Small). 단순히 끈을 조이는 시스템인데 뭐가 이렇게 많아 싶었는데 다 이유가 있었다. 이렇게 나뉜 이유에 대해서는 원리편에서 설명하..
더 빠른 실패를 위한 구글의 원칙 - 프리토타입(Pretotype) 성공적으로 창업하여 구글에서 일하던 알베르토 사보이아가, 구글을 뛰쳐나와서 야심차게 시작한 두 번째 창업을 말아먹고 다시 구글로 돌아와 "실패"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가 "프리토타이핑 pretotyping" 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난 번에 "그런 게 있다~" 정도만 알고 난 뒤에, 제대로 알아볼 생각을 못하고 있었는데 어느새 과제 중간 발표일자가 다가왔다. '다음 번에는 프리토타이핑이라는 것을 해볼 생각입니다' 하고 말을 해야 하는데, 정작 그게 뭔지 아직도 잘 모르겠어서 급하게 조사를 해보았다. 1. Pretotyping의 목표: 더 빠른 실패를 가능하게 하자 프로토타입은 어느 정도 기능을 갖춘 제품을 제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빠르게 제작하여 시장에 소개하는 것이 목표인데, 생각..
강화학습(SAC)을 활용한 코로나 대응 정책 만들기 - Sony AI 스탠포드 유튜브 강의(CS234)로 강화학습을 공부한 게 올해 1~2월 쯤이었다. 마냥 공부만 하면 재미가 없으니 Cartpole 예제로 직접 구현해보는 시간도 가졌더랬다(관련 글). 대학원에 입학하게 되면 실제 연구에 강화학습을 사용할 수 있겠지~ 하며 기대도 했었다. 그런데 웬걸, 강화학습은 커녕 단순한 머신러닝조차 활용할 길이 드물다. 연구 주제인 웨어러블 혹은 생체모사 로봇 등이 디자인과 성능 검증으로 이뤄져 있지, 제어나 센서 등을 다루지 않기 때문이다. 주어진 상황에 맞춰 제어를 하게 되는 강화학습을 사용할 여유가 없는 것이다. 그렇다고 딥러닝을 손 놓고 있자니 공부한 것이 아깝기도 하고, 또 언젠가는 쓰일 것이라는 기대를 하지 않을 수가 없다. 그래서 강화학습을 적용할만한 다른 연구거리를 찾..
볼펜 구동 방식 - Parker 볼펜 볼펜 자주 쓰시는지? 태블릿도 하나 있겠다, 작업은 컴퓨터로 하겠다, 나로서는 펜을 쓸 일이 전혀 없다. 그래서 가끔씩 서명이 필요한 서류가 생길 때면 당황하게 되기도 한다. 뭐 종이도 아껴쓰는 것이 좋으니, 웬만하면 펜을 쓸 일을 없애는 편이 낫겠지. 아무튼 오늘은 볼펜의 메커니즘에 대해서 공부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아니 그거 해서 뭐하냐" 싶겠지만, 의외로 자세히 보다 보면 도대체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 게다가 볼펜의 메커니즘을 모방하여 모델링 한 뒤 3D 프린터로 뽑으려고 하다보니 하루 왠종일 붙잡고 있었다. 맨 위 사진과 같은 모나미 펜 같은 경우는 양반이다. 바로 위 특허 사진은 Parker 회사에서 만든 볼펜에 들어간 메커니즘이다. 1965년에 나왔으니, 20년 만기인 특허로서..
대학원생이 벤처캐피탈 사람을 만나면 물어봐야 하는 것 - 퓨처플레이 4탄 어느새 퓨처플레이 멘토링은 사전 준비조차 하지 않고 가는 간단한 미팅이 되어 버렸군. 오늘 세 번째 멘토링을 가졌다. 놀랍게도, 이번에는 "Brilliant"하다는 극찬을 받을 수 있었다. 매번 쿠사리만 듣다가 오늘같은 피드백을 얻고 나니, "오늘은 이거다!" 싶어 팀원끼리 신나게 피자를 먹고 기숙사로 돌아와버렸다. 이런 날도 있어야지 우후후 두 번째 멘토링(글)이 5월 12일이었으니, 8일이 지났다. 그 사이에 우리 팀은 프로토타입을 떡 하니 제시할 수 있었다. 이미 연구 중인 아이템이었으면 모를까, 맨땅에 헤딩하며 지난 시간에는 "창의성이 없네요" 하는 말조차도 들었더랬다. 하지만 일단 프로토타입의 형태가 시각적으로 드러나니 다음 단계에 대한 논의가 술술 진행된 것이다. "Brilliant"하다는 것..
대학원생이 벤처 사람을 만나면 물어봐야 하는 것 - 고영하 회장 2탄 스타트업계의 대부인 고영하 회장님과도 멘토링을 진행하게 되었고, 지난 글(링크)에서 다짐했던 일을 시행해봤다. 그가 어떻게 46세의 나이에 창업을 성공시킬 수 있었는지, 그 동안에 그의 가족들은 어떻게 생활한 것인지 등을 여쭤볼 수 있었고, 의외로 또 흔쾌히 답해주었다. 다음으로 쓸 이야기는 어쩌면 고영하 회장이 그다지 언론에 알리고 싶어하지 않았던 내용일 수도 있고, 사생활에 불과한 이야기일 수도 있다. 하지만 젊은이들을 "창업을 해야 대한민국에 미래가 생긴다" 라며 사지로(?) 몰아넣고 있는 분이시기에 이 정도 내용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위키백과(링크)에는 연세대 의대를 중퇴했다고만 나와있는데, 정말이었다. "의대 그만두고 창업을 했나?" 아니었다. 당시 박정희 군사정권..
대학원생이 벤처캐피탈 사람을 만나면 물어봐야 하는 것 - 퓨처플레이 3탄 퓨처플레이 류중희 대표와 두 번째 멘토링 시간을 가졌다. 여전히 무례하고 단순한 멘트로 점철된 시간이었지만 딱히 틀린 말을 한 것은 아니었던 시간- 이라고 한 줄 평을 남길 수 있겠다. 뭐 이런 저런 이야기는 차치하고, 가장 기억에 남는 이야기는 "다른 팀에 비해 창의성이 떨어지네요" 하는 평가였다. '다른 팀'이라고 하면, 소프트 센서를 활용한 장갑, 자율주행을 활용한 아파트용 서비스 로봇을 말한다. 창의성이라고 말하는 것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어떤 느낌인지는 알 것 같다. "딱 와 닿는 것"이 없다는 소리다. 해당 분야에서 업계 선도로 치고 나갈 수 있는 기술력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도 그럴 것이, 다른 조들의 경우 현재 연구 중인 주제(소프트로봇 연구실과 자율주행 연구실)를 ..
대학원생이 벤처 사람을 만나면 물어봐야 하는 것 - 고영하 회장 퓨처플레이를 지나 이번에는 고영하 회장을 만나게 되었다. 이번에는 어떤 아이템을 들고 가서 컨설팅을 받는 것도 아니다. 그냥 "인생 상담"이 목적이다. 무슨 말을 하지? 무슨 질문을 하고 무슨 대답을 듣지? 질문을 위해 자료조사를 하다보니, 의외로 발견되는 정보가 많지 않다. 위키 백과에는 어떤 미디어회사들의 회장을 지냈던 것으로 보일 뿐이다. 결국 비대면 대담형식의 강연을 유튜브에서 보면서 배경지식을 쌓을 수 있었다. 무려 2 시간 40분 짜리를 2배속으로 들었으니 꽤나 정성을 쏟았다고 할 수 있다. 1. 현재의 고영하 회장 한국엔젤투자협회 회장을 맡아 초기 투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직접 투자회사에 참여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정부에 입김을 넣으면서 TIPS(정부 지원금이 빵빵한 투자 프로그램,..
일론 머스크가 직접 설명해주는 로켓 과학 영어 관용구 중에는 "it's not a rocket science"라는 것이 있다. 로켓 과학도 아닌데, 그 정도는 이해할 수 있는 거 아니냐~ 하는 핀잔이 섞인 말이다. 다시 말하자면, 로켓 과학 정도라면 이해 못해도 괜찮을 거라는 뜻이 될 수 있다. 일론 머스크 본인은 학부는 경제와 물리를 전공했고, 에너지 분야에서 박사학위를 공부하려다가 이틀 만에 때려친 뒤 창업의 길로 들어섰다. 로켓 과학과는 상관 없는 (전혀까지는 아니겠지만...)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결국 혼자서 공부하면서 SpaceX 창업을 했다는 뜻일 테다. 물론 고용하는 로켓공학 박사들이 관련 분야를 더 잘 알겠지만, 회사의 대표로서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로켓 과학을 아예 모를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런 사람이 "내가 로켓 공학 설..
Hill's Muscle Model 공부 후기 요즘 배우는 "운동역학" 수업에서 Hill's Muscle Model이라는 것이 나온다. 근육의 구조를 스프링과 구동기 구조로 설명하는 모델이다. 음, 그런가보다, 하고 넘기려는데, 아니 Hill이 이 모델로 1922년 노벨상을 탔다는 것이 아닌가? 과학 분야에서 노벨상 수상자의 이론을 직접 배워보는 것은 처음인 것 같은데, 그건 둘째치고서라도, 이런 간단한 모델로도 노벨상을 탈 수 있는 건가? 1900년대 초에는 정말 과학이 발달하지 않았구나 새삼 느꼈다. 100년도 안되어 이런 생각을 하고 있는데, 과학 기술의 발전은 exponential하게 이뤄진다고들 하니, 앞으로 10년 후면 2021년의 과학기술을 보고 구닥다리라고 여길지도 모르겠다. Hill이 고안한 모델은 위와 같다. Contracti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