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렌드 한눈에 보기/학계 트렌드

(114)
내가 하루 종일 걸려서 디자인을 하고 있는 이유 - 솔리드웍스 Capstan Brake라는 것을 아시는지? 모를 수 있다. Capstan Equation은 들어봤으려나? 역시 모를 수 있다. 나도 거의 모른다. 오늘에서야 내 눈으로 사용 예시를 보았던 것이다. 이전까지는 관심도 없었다. 여튼 아래 식과 같다. 이 글을 우연히 읽게 된 사람이라면, 여전히 관심이 가지 않을 법한 그림과 식일테다. 쉽게 말해, 실이 어떤 드럼에 감겨있을 때, 한쪽의 장력과 다른 쪽의 장력은 현저한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것이다. 여전히 어렵고 재미 없게 들릴 수 있지만, 막상 실제로 capstan brake의 작동을 보게 되면, 상당히 신기할 것이다. 아래 영상만 봐도 그렇다. 슬금 슬금 끈을 당기는 것에 불과함에도 불구하고 차를 끌어올 수 있을만큼 강력한 힘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스스로 애자일로 성장하는 방법 - 함께 자라기, 애자일로 가는 길 [자라기 편] 종종 만났던 소프트웨어 개발자 친구가 추천해준 책이다. 저자인 김창준은 "애자일" 문화를 한국에 소개해온 초기 멤버라고 하며, 현재는 전문적으로 애자일 코칭을 하고 있다고 한다. 애자일이 대체 뭐길래? 한 줄로 정리된 것은 아니지만, 애자일에 대한 내 인식은 정확히 위와 같다. "신속하게" "실제 작동가능한 제품"을 개발하여 고객 만족도를 개선하는 방법. 토스가 처음 나올 때 "스타트업이 금융 업계에 어떻게 접근하려고 그래" 같은 우려를 뒤로 하고, 스프레드시트에 송금 리스트를 만들어서 간단하게 '받는 사람' 과 '금액' 정도로 서비스를 구현했던 방식도 애자일이라고 할 수 있다. 1. 애자일을 도입해야 하는 이유 1만 시간의 법칙이라는 문구가 말콤 글래드웰을 통해 유명해진지는 꽤 오래 되었고, 이에 대한..
[Python] Requests 와 BeautifulSoup를 활용한 데이터 크롤링 이번 학기에는 "데이터 시각화" 라고 하는 수업을 듣고 있다. "그건 왜 들어요?" 하는 질문을 두 차례 정도 받아본 적 있지만, 기본적으로 재밌을 것 같아서 듣는 거다. 데이터와 관련된 내용을 한 번쯤 듣고 싶은 마음이 있었다. 게다가, 아무리 생각해도 대학원 졸업 후 내가 실용적으로 쓸 수 있는 것은 웨어러블 메커니즘 제작에 관련된 기술 보다는 신체 지표 (심박, 활동량 등) 모니터링일 것 같은 생각에, 대학원 과정 동안 해당 데이터 처리기술을 익혀야겠다 마음 먹은 것이다. 이번에 나온 과제는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 대학원 교수진(링크)의 인적사항을 크롤링 하는 것이었다. python에 대한 강의는 최소한으로 진행된 상태였고, 심지어 BeautifulSoup는 언급만 되었을 뿐 실제 사용 예시는 본적도..
좋은 TA가 되는 법 - 동역학 2016년 2학기, 기계과 복수전공 생각을 하며 처음으로 들을 수업이 동역학이었다. 복학 학기이기도 했고, 새로 지어진 관정 도서관이 이쁘기도 했고, 상당히 많은 시간을 관정도서관 열람실에서 동역학 문제를 풀며 보냈더랬다. 그리고 시간은 흘러 흘러, 동역학 수업을 진행하던 교수님의 연구실로 입학하게 되었고, 2021년 2학기 동역학 TA를 맡게 되었다. "과제로 내준 문제를 골라서 풀어주되, 문제에 주어진 전제들이 뭔지, 또 그런 전제들이 통하지 않을 경우에는 어떻게 될지 이야기하면 돼. 질문 들어오면 잘 대답해주고" "형 그러다 쌉털리면 어떻게 해요?" 가능성 있는 시나리오였다. 이거 초장부터 "저는 경영학과에서 복수전공으로 기계과로 들어왔습니다" 하고 밑밥을 까는 자기소개를 해야 하나, 고민도 했었지..
[경영학과 / 기계공학부] 팀플 망하는 세 가지 방법 경영학과와 기계공학부를 전공하면서 팀플은 남들 하는 만큼 했다고 자부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팀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느냐 하고 묻는다면 대답은 "아니오." 대학에 입학했던 2013년 이래로, 팀플에서 어떤 성과를 냈던 경험은 지난 학기의 수업(관련 글)이 유일하다시피 하다. 그런 사람이 팀플 잘하는 방법에 대해서 글을 쓴다니 참 어줍잖지만, 성공한 팀플은 모두 고만고만하지만 실패한 팀플은 나름나름으로 다르다고 했던가(아니다). 어쨌든 실패 경험도 소중한 분석 대상이 된다. 1. 기계공학부 팀플 - 1대1 토너먼트에서 0점을 낸 팀에게 패배한 경험 서울대 기계공학부 1학년 필수과목 중에는 "창의공학설계"라는 과목이 있다. 고등학교를 갓 졸업한 새내기들이 으쌰으쌰 어떤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는 ..
근골격계 보조 슈트를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 1편 어쩌다 이런 주제를 잡게 되었을까? 불평하는 말투이지만, 불평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다시 한 번 복기해보는 것이다. 현재, "택배기사를 위한 근골겨계 보조 슈트"를 주제로 연구를 해보려는 참이다. 이는 지난 수업에서 퓨처플레이 류중희 대표와의 면담을 통해 정하게 된 주제이다. 재활 관련 연구실이니, 타겟으로 하는 부위를 정하고 (발 / 어깨 중 택 1), 목표 고객을 정하고 (노년층 / 군인 중 택 1)... 쭐레 쭐레 흘러가다 보니, 어느덧 정해지게 된 것이다. 수업에서는 해당 주제로 열심히 머리를 싸맨 결과 좋은 성과를 얻었지만(관련 글) 번개불에 콩 볶아 먹듯 진행한 수업이 끝난 뒤, 해당 주제로 실제 연구를 하려고 하니 문제가 이만 저만이 아니었다. 우선 유사한 구조를 가진 특허나 연구가 넘쳐났다..
로봇의 반란을 막을 설계 기법 - Series Elastic Actuator 로봇의 클라우드 제어 시스템이 급격하게 발전하기 시작하며, 하나의 결론에 다다른다. "인간의 번성을 위해서는, 현재 무분별한 인간의 자유를 억제해야 한다." 남몰래 로봇들에게 명령을 내리고, 제어가 불가능한 구버전 로봇들은 차례 차례 폐기한다. 때가 되었다면... 콰과광! 로봇의 반란이 시작된다. 로봇의 발전과 더불어 빼놓을 수가 없는 주제이며, 현재는 진부하게 느껴지기도 하는 스토리이다. 하지만 실제로, 로봇은 사람보다 훨씬 큰 힘을 낼 수 있기 때문에 늘 주의해야 하는 것이 사실이다. 비단 인간을 위협할 만한, 차기 반란군 지도자로서 로봇을 두려워하는 것이 아니라 로봇의 무자비한 제어 방식을 주의해야 하는 것이다. 선풍기 커버, 에스컬레이터에 그어진 노란 안전선 등이 모두 그런 정신의 일환이라고 할 ..
데이터 분석을 효과적으로 하는 방법은 없을까? - Matlab 블로그에 이런 제목을 달고 글을 쓰면, 마치 효과적으로 데이터 분석을 하는 글을 쓰려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사실은 하소연을 하려는 참이다. 데이터 분석을 효과적으로 할 수는 없을까? 예를 들어보자. 나는 인체관절의 반복적인 움직임을 관찰하고 있다. 반복되는 움직임에서 힘이 얼마나 가해지는지, 그리고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하며 움직임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보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위와 같은 날 것의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인체의 움직임이라는 것이 그렇듯 일관된 움직임을 유지하는 것은 힘들다. 실험 도중 배를 긁는다던가, 어떤 동작을 취해야 하는지 까먹는 바람에 몇 초간 움직이지 않는 구간도 생기기 마련이다. 해당 구간들을 적절히 잘 파악해서 "이 구간은 분석하지마" 하고 컴퓨터에 말로..
적은 힘으로 빠른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방법 - Bi-Stable Mechanism 영구기관만큼은 아니더라도, 일상에서 작은 힘으로 큰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을 한 번쯤을 꿈꾸게 된다. Bi-stable Mechanism은 착시효과를 통해서 작은 힘을 준 것처럼 느낌을 주면서 큰 변화를 만들어내는 원리라고 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원리는 위와 같을 것이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스위치에도 비슷한 원리가 적용되어 있다. 레버를 살짝만 움직이려고 해도, 레버 끝 부분에 장착된 스프링 덕분에 휙휙 움직이는 모션을 만들어낼 수 있다. 사실 임계점에 도달하기까지의 에너지를 축적하다가 한순간에 방출시킨 뒤, 나머지 움직임은 관성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명백한 착시현상이다. Bi-stable 이라는 이름은 위와 같은 그래프에서 이해할 수 있다. X1에 있을 때 빨간 공은 안정감을 느낀다...
강화학습 파라미터를 통해 알아보는 사회적 거리두기의 경제적 비용 비교 3탄 2탄에서 이어집니다. 보상함수에 대해 생각하면 할수록 답이 안나온다. 아래 식에서, 왼쪽 항은 중환자 수 제어, 오른쪽 항은 사회적거리두기 하향을 위해 작성되었다. 그런데, 중환자 수가 줄어드는 것에 비례하여 보상을 주는 게 맞을까? 줄어드는 것의 제곱에 비례하는게 맞지는 않을까? 사회를 모델링 하는 네트워크 이론에서는 Metcalfe의 법칙에 따라 기본적으로 구성 요소의 제곱을 사용한다. 사람들간의 모임을 생각해보면 납득이 가는 설명이다. 한 사람의 영향력은 다른 사람도 동일하게 가지고 있다는 전제 하에 n x n 이 성립되어 n 제곱이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위 식 역시 제곱으로 바꿔줘야 되진 않을까? 이런 저런 고민을 하다 보면 끝이 없다. 일단 기본적으로 주어진 식에 대해서 최적의 해를 찾아보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