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렌드 한눈에 보기/산업 트렌드

연이은 중국에 대한 위험성 증가 vs. 중국 수출 규모 25% 증가

 지난 1월, 알리바바 설립자 마윈이 중국 정부에 의해 잡혀 들어가면서 (단순 조사였지만, 한 달간 실종상태였다) 시작되었던 것 같다. 지난 7월에는 교육 분야, 게임 분야 등등 말할 것도 없이 2020년대 기술 분야를 선도하는 산업들에 대해 어마무시한 규제를 선포하기도 했고, 이에 따라 해당 분야 스타트업들이 단숨에 고꾸라졌다. 


중국 기업에 투자를 멈추기로 한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

 

 중국에 대한 세계의 투자자들의 행태는 그야말로 "All-stop" 자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파격적인 2021년 상반기였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시진핑 주석이 "공동부유" 다 같이 잘 살자 (혼자 잘 사는 놈들 딱 기다려라) 라는 말을 꺼내면서 중국의 가파른 성장세 역시 멈추는구나 싶었더랬다. 

 

 

 하지만 이런 우려 섞인 시선을 비웃기라도 하듯, 중국의 8월 수출량은 전년도 대비 무려 25.6% 증가했다. 물론, 바로 7~8월에 시행된 각종 규제정책들과, 8월 수출량 사이에 연관관계가 존재할 수는 없다. 2022년 8월의 수출량과 비교하면 모를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동부유"라는 말이 힘을 가질 수 있는 것은 그만큼 성장에 대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라는 글까지 쓰고, 한국의 수출량을 검색해보았다. 얼레? 한국은 작년 대비 34.9%나 늘었다. 무역 수지는 16억 달러로 약 2조 원에 근접한 수준이라고 한다. 중국 무역 수지는 580억 달러로 60조 원이 넘는다. 


 이렇게 비교하고 보니, "중국에 대한 우려의 시선이 많지만, 중국은 끄떡 없을 것이다" 라는 내 가설은 근거가 너무 빈약한 것으로 파악된다. 비교 지표로 내세웠던 중국의 8월 수출 25% 증가는, 한국의 35% 증가에 비하면 많은 수준이라고 할 수 없는데, 한국의 경우에는 경제가 살만한 수준이라고 하기도 힘들기 때문이다. 결국 이도 저도 아닌 글이 되었지만, 이런 날도 있는 법이다. 다음 번 글은 좀 더 탄탄하게 쓰이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