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93)
애플이 침해한 마시모 특허, 삼성은 괜찮을까? - 혈중산소 측정방법 ”혈중산소 측정센서를 영어로 뭐라부르는지 알아요? SpO2 Sensor라고 해요. 수면무호흡증 같은 몇 안되는거 측정하자고 시계에 넣어뒀는데 이게 확! 특허에 걸려버리면 황당하잖아. 지금 내 기분이 그래. SpO2가 없네~“ 그렇다. 애플이 특허침해로 판매를 중지한 혈중산소센서는 그렇게 활용도가 높지 않음에도 ”기술력“이라는 명목으로 고사양 버전 (애플워치6 이상)에는 모두 탑재되어 있다. 그렇다면 애플이 침해한 특허는 무엇이고, 과연 삼성은 이로부터 자유로울까? 스마트워치를 차본 사람이라면, 시계 뒤편에서 초록불이 반짝이는 것을 본 적 있을테다. 이건 심박센서로, 빨간 피가 초록 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초록색으로 설정됐다. 초록 빛의 반사율을 측정하면서 혈류를 추정하면 심박을 잴 수 있다. 혈중산소 센서..
세 번째 Tesla Optimus, Gen 2에 숨겨진 기술 (feat. 디즈니 리서치) 테슬라가 세 번째 휴머노이드, 옵티머스 2세대를 공개했다. "범블비"라는 이름의 프로토타입 (2022 9월, 보행만 겨우 가능한 수준), 외관과 제어에 조금 더 신경을 쓴 Gen 1 (2023 3월)을 거쳐 8개월 만에 공개한 로봇이다. 원본 영상은 X (옛 트위터)에만 올라와있지만, 유튜브에서도 시청은 가능하다. X의 Tesla Optimus님(@Tesla_Optimus) There’s a new bot in town 🤖 Check this out (until the very end)! https://t.co/duFdhwNe3K twitter.com 이게 다야? 하는 사람이라면 Gen 2를 통해 휴머노이드를 처음 본 사람일테다. 반면에 움직임이 자연스러운 것에 놀랐다면, 기존 Gen 1을 눈여겨 본 사..
[UChicago] 과학기술의 혁신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chatGPT로 시작했다고 볼 수 있는 생성형 AI에 대한 관심, Tesla로 시작한 휴머노이드에 대한 관심은 모두 관련 주식 가격의 폭발적인 성장을 가져왔다. 이런 기술 혁신들과 주식시장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2008년 시카고 대학에서 발표했다. 100 페이지 남짓한 분량으로, 논문보다는 교과서나 소책자에 가깝다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인지라, 첫 두 장을 읽다가 페이지 수를 확인하고는 포기하고 말았다. 하지만 핵심만 파헤쳐보기로 했다. 봐야할 것은 단 두가지, 1. 과학기술의 혁신을 어떻게 정의하는가, 2. 과학기술의 혁신과 주식시장의 반응에는 패턴이 있는가 1. 과학기술의 혁신을 어떻게 정의하는가 가장 먼저 생각나는 방법은 논문의 피인용수이다. 머신러닝의 유행을 촉발시킨 Alex Krizhevs..